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미약품]

by 뚱시코기 2025. 3. 7.
반응형
SMALL

 

최근 한미약품의 경영권 분쟁 종결이라는 뉴스를 보며 한미약품에 대해 궁금해져서 자료와 정보를 찾아봤다.

출처: 한미약품

 

1. 기업개요

한미약품은 1973년 임성기 회장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주요 완제 의약품 제조업체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14에 있다. 내 업 때문에 한미약품 팔탄 공장에 가본 적이 있다. 시설도 좋고 규모가 크긴 했다.


2. 한미약품의 지배구조

 

 
출처: 다리짧은 강아지

 

 

3. 재무

- 매출도 점차 증가하고 있고 특히 수출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 영업이익도 2020년에는 많이 낮아졌지만 23년도에는 19년도보다 2배 이상을 벌어들였다.

 
출처: 네이버 페이 증권

 

 

 


4. 주요제품

- 아모잘탄 패밀리: 고혈압 치료를 위한 복합제로, 누적 매출 1조 2,672억원을 기록한 대표 제품

- 로수젯: 고지혈증 치료를 위한 복합제로, 2020년 처방실적 1,232억원을 달성했습니다

- 에소메졸: 국내 개량신약 중 최초로 미국 약전(USP)에 등재된 제품, 위식도역류질환(GERD) 치료제

- 한미탐스: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 팔팔: 발기부전 치료제로, 비아그라의 제네릭 버전

- 롤론티스: 바이오신약으로, 2021년 국내 시판허가를 받았고 2022년 미국 FDA 시판허가를 획득

- 텐텐: 비타민 A, B1, B2, B6, C, D, E칼슘, 마그네슘, 코엔자임 Q10 등 다양한 필수 영양소를 함유, 국내 어린이 영양제 중 유일하게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여 체내 에너지 생산을 촉진하고 성장 발육에 도움을 줌, 성분이 포함되어 충치 예방 효과 제공

- 이외에도 한미약품은 다수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개량신약, 복합신약, 그리고 글로벌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5. R&D 투자

- 자체 개발한 개량·복합신약의 수익을 혁신신약 R&D에 재투자하는 전략 채택

- 개량·복합신약 매출 증가로 R&D 투자 확대 중

- 2024년 기준 매출액의 15~20% 수준을 R&D에 투자 계획

- 2025년 3분기 누적 R&D 투자금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1362억원 기록

- R&D 연구인력이 600명을 넘어 2025년 3분기 기준 627명으로 증가

- 비만대사, 항암, 희귀질환 등 30여 개의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보유

-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를 통해 비만 관리 분야에 주력

- 질환 중심으로 R&D 센터를 재편하여 연구 효율성 제고

- 세포·유전자 치료제, mRNA 기반 항암제 등 신규 연구과제 수행 가속화

- MSD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에피노페그듀타이드' 공동 개발 진행 한미약품은 이러한 전략적 행동을 통해 지속 가능한 R&D 체계를 구축하고, 혁신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 대한민국 R&D 투자 NO.1 제약회사

 

6. 차트

출처: 키움증권 년 단위 차트, 2025년 3월 7일 기준
출처: 키움증권 월 단위 차트, 2025년 3월 7일 기준

출처: 키움증권 주 단위 차트, 2025년 3월 7일 기준
 

출처: 키움증권 일 단위 차트, 2025년 3월 7일 기준

 


7. 마켓팅 전략

- 의료 정보 플랫폼 'HMP'를 통한 디지털 마케팅 주력

- 5년 연속 '디지털마케팅 우수 국내 제약사' 1위 선정

- 의료진에게 제품 및 질환 정보, 최신 의료 트렌드 관련 콘텐츠 제공

- AI 챗봇 서비스 개발 중으로 맞춤형 정보 제공 예정

- 약국 및 병원에 배경음악 서비스 제공

- 고객의 나이, 성별, 라이프스타일, 날씨 등을 고려한 맞춤형 음악 서비스

- 기업 브랜드와 매장 이미지 제고 목적

- 경제성이 큰 대형 제네릭 의약품 출시로 시장 선점

- '아모디핀', '그리메피리드정' 등 성공적인 제품 출시

- 'LAPS COVERY(랩스커버리)' 플랫폼을 통한 기술 발전

- 한미약품의 마케팅 전략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정보 제공, 혁신적인 고객 서비스, 제네릭 의약품 시장 공략, 그리고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한 제품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8. 해외진출 전략

- 북경한미를 통한 중국 시장 진출

- 현지 GMP 공장 및 R&D 센터 설립

- 현지 인력 적극 채용 및 활용

- 2024년까지 미국, 일본 시장에서 영향력 확대

- 2025~2026년 중국, 중미, 중동 시장 신규 진출 계획

- 2027~2033년 남미와 유럽 등 나머지 시장 개척 예정

-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

- 비만대사, 항암, 희귀질환 등 30여 개의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보유

- 평택 바이오플랜트 등 대규모 설비 활용

- 단백질 제조 CDMO 서비스 제공

- 임상 1상부터 FDA 승인까지 개발 노하우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 강화

- MSD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공동 개발

- 중국 시장에서 아동의약품 시장을 타깃으로 성공

- 향후 10년 내 매출 5조원, 영업이익 1조원 달성을 목표


9. 로컬네트워크

- 연구개발(R&D) 및 영업 인력을 중국 현지에서 채용하여 현지화에 집중

- 전체 직원 1,400명 중 한국인은 10명 미만으로, 대부분이 중국인으로 구성

- 영업 책임자와 R&D 인력도 모두 현지 인력으로 운영

- 중국 내 GMP 공장을 설립해 의약품을 직접 생산하고, 이를 현지에서 판매

- 상해의약(Shanghai Pharma) 그룹과 협력하여 일반의약품 7종을 중국 전역에 유통

- 오프라인 약국 매장과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해 제품을 공급

- 베이징에 위치한 북경대 등 명문대와 협력하며 우수 연구 인력을 양성

- 허가 관련 정부기관이 베이징에 위치한 점을 활용해 신속한 승인 절차 진행

- 중국 경제 허브에 최첨단 종합기지를 착공하여 연간 6억 캡슐의 완제의약품과 90톤의 원료의약품 생산 능력을 확보할 예정

- 물류 자동화 창고를 통해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와 경쟁력 강화 추진

- 아동 의약품 시장을 타깃으로 소아유산균제 '마미아이', 감기약 '나얼핑', 변비약 '리동' 등 주력 제품 출시

- 아동 의약품 외에도 성인용 정장제와 진해거담제 등 다양한 품목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 북경한미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과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중국 내 입지를 강화하며, 생산, 유통, R&D 전반에서 독립적인 운영 모델을 구축 중


10. 경영진들의 마인드

(1) 전문경영인 중심의 독자 경영 추구

- 박재현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한 독자적 경영 체제 구축(지주회사인 한미사이언스로부터 독립된 경영 추진)

- 임성기 선대회장의 '신약개발 철학'을 계승하고자 함

- R&D 기조 복원 및 시스템 정비에 주력

(2)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 추구

- 머크(Merck)의 전문경영인 체제를 롤모델로 삼음

- 대주주는 이사회를 통해 지원하고, 전문경영인이 실질적 경영을 담당하는 구조 지향

(3) 조직 안정화 및 기업가치 제고 노력

- 거버넌스 이슈로 인한 주주와 임직원들의 피로도 해소에 주력

- 독자경영을 통한 기업가치 향상 목표

(4) 투명성과 전문성 강화

- 전문경영인 체제를 통해 경영의 투명성과 전문성 제고 추구


11. 비만치료제

(1)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

- 한국인 맞춤형(한국인의 체형과 체중을 반영)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

- 현재 국내 임상 3상 순조롭게 진행 중

- 2026년 하반기 임상 종료 예상, 2027년 출시 가능성

(2) HM15275

- 차세대 혁신형 비만치료제

- 근 손실 최소화하면서 25% 이상 체중 감량 효과 기대

- 현재 미국에서 임상 1상 진행 중, 2025년 2상 진입 목표

(3) HM17321

- GLP-1의 근감소 부작용을 막아주는 역할 기대

- 지방만 선택적으로 감량하면서 근육 증가 설계


우선, 공부를 위해 간략하게 조사를 해봤다. 필요한 정보가 더 있을 것이다. 각 제품이 경쟁사대비 어떤 경쟁력이 있는지, 시장 점유율 등 많이 있을 것이지만 오늘은 여기까지 해보겠다.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의 인구와 미래]  (0) 2025.03.10
[HD현대건설기계]  (2) 2025.03.08
푸틴과 핵위험  (2) 2022.10.03
CJ프레시웨이  (0) 2022.10.02
한화시스템  (2)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