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HD현대건설기계]

by 뚱시코기 2025. 3. 8.
반응형
SMALL

HD현대건설기계를 공부해 보려고 한다. 우크라이나의 전쟁 얘기가 나오면 관련 주로 해서 주가가 움직이고 있는 거 같다.

1. 개요

HD현대건설기계는 1985년 현대중공업 중기계 사업부로 출범한 글로벌 종합건설기계 전문 브랜드입니다. 현재 미국, 유럽, 중국 등 129개국에 405여 개의 현지법인 및 딜러망을 갖추고 있으며, 굴착기, 휠 로더, 백호 로더 등 다양한 건설장비를 생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혁신 기술 개발을 통해 사람과 기계, 작업 현장을 연결하여 스마트한 장비 운용과 운용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자세 센싱과 전자 유압 기술을 활용하여 측량 공정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 재무

매출액이 2020년 이후로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내수는 감소했지만, 그 이상을 수출로 만들어서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영업이익도 꾸준히 증가하는게 보인다.

출처: 네이버페이 증권

 

3. 차트

출처: 키움증권 년단위 차트

출처: 키움증권 월단위 차트

출처: 키움증권 주단위 차트

출처: 키움증권 일단위 차트

 

4. 주요제품

(1) 굴착기(Excavators)

  • 소형 굴착기(Compact Excavators): 1~6톤급 소형 모델로, 협소한 작업 공간에 적합.
  • 중형 굴착기(Medium Excavators): 14~30톤급 모델로, 일반적인 건설 현장에서 주로 사용.
  • 대형 굴착기(Large Excavators): 30톤 이상 대형 모델로, 광산 및 대규모 토목 공사에 활용.
  • 휠 굴착기(Wheel Excavators): 바퀴형 굴착기로 도심지 작업에 적합.

 

(2) 휠 로더(Wheel Loaders)

  • 대형 적재물을 운반하는 장비로, 건설 현장 및 광산 작업에서 필수.
  • 주로 토사, 자갈, 광물 등의 적재 및 운반에 사용.

 

(3) 백호 로더(Backhoe Loaders)

  • 앞쪽에는 로더, 뒤쪽에는 굴착 기능을 갖춘 다목적 장비.
  • 농업, 도로 유지보수, 소규모 건설 작업 등에 활용.

출처: HD현대건설기계

(4) 스키드 스티어 로더(Skid Steer Loaders)

  • 소형 다목적 로더로,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에 유리.
  • 건설, 조경,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출처: HD현대건설기계

(5) 포크리프트(Forklifts)

  • 물류 및 창고 작업에 필요한 지게차.
  • 디젤, 전기, LPG 등 다양한 동력원을 사용하는 모델 보유.

(6) 덤프트럭(ADT/WDT)

출처: HD현대건설기계

(7) 도저(Dozers)

  • 도로 건설이나 건축물 기초 공사 전에 토양을 정리할 때 사용.
  • 무거운 바위, 흙더미, 잔해 등을 밀어내거나 치우는 데 효과적.
  • 험지에서도 강력한 견인력으로 작업 가능.

출처: HD현대건설기계

(8)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s)

  • 도로를 건설할 때, 지면을 평평하게 정리하여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포장하기 전에 기초를 다짐.
  • 흙길이나 비포장도로를 정리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만듦.
  • 도로의 경사(슬로프)를 조정하여 배수가 원활하도록 설계.
  • 측면 배수로를 정리하여 비가 와도 도로가 침수되지 않도록 함

출처: HD현대건설기계

(8) 특수 장비 및 스마트 솔루션

  • 전기 및 수소 연료 건설장비: 친환경 기술 적용.
  • 무인 자동화 장비: AI 및 원격 조정 기능을 통한 스마트 건설 솔루션 제공.
  • 첨단 텔레매틱스(Telematics) 시스템: 장비 상태 및 운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관리 가능.

5. HD현대건설기계의 장점

(1) 가격 경쟁력

  • 동급 성능의 글로벌 브랜드 대비 가격이 저렴하여 가성비가 뛰어남.
  • 특히 신흥시장(동남아, 중동, 아프리카)에서 가격 대비 성능을 중요시하는 고객층을 공략.
  • 경쟁사(Caterpillar, Komatsu) 대비 초기 투자 비용이 낮아 중소규모 업체들에게 매력적.

(2) 전 세계 탄탄한 유통망 & A/S 서비스

  • 129개국, 400개 이상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빠른 대응 가능.
  • 북미, 유럽,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주요 시장에 현지 생산 및 딜러망 보유.
  • 신속한 부품 공급과 사후관리(A/S) 시스템이 경쟁력을 강화.

(3) 친환경 및 스마트 건설기계 기술 개발

  • 전기 굴착기, 수소 연료전지 굴착기 개발로 친환경 건설장비 시장에서 앞서가는 중.
  • 텔레매틱스(Telematics) 시스템을 도입하여 실시간 장비 모니터링 및 원격 관리 가능.
  • AI, IoT 기반 스마트 건설 솔루션을 개발하여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

(4)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

  • 소형 장비(미니 굴착기)부터 대형 장비(광산용 굴착기)까지 다양한 라인업 보유.
  • 건설, 광업, 물류, 농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 맞춘 맞춤형 장비 제공.
  • 휠로더, 굴착기, 백호로더, 지게차, 도저 등 전반적인 건설기계 시장을 커버.

 

6. HD현대건설기계의 단점

(1) 브랜드 인지도 및 프리미엄 이미지 부족

  • 글로벌 1위 업체인 Caterpillar(美), Komatsu(日)에 비해 브랜드 파워가 약함.
  • 북미 및 유럽 시장에서는 여전히 Caterpillar, Volvo CE 등이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됨.
  • 고급 이미지 구축이 필요.

(2) 고급 기술력 및 내구성에서 일부 경쟁사 대비 약점

  • Caterpillar, Komatsu, Hitachi와 비교했을 때 극한 환경(광산, 대형 인프라 공사 등)에서 내구성 평가가 다소 낮음.
  • 일부 고급 모델에서는 경쟁사 대비 엔진 효율성과 내구성 면에서 개선이 필요.

(3) 특정 시장에서 경쟁력 부족

  • 북미 시장에서 Caterpillar, John Deere 등 로컬 브랜드들의 강세로 점유율 확대 어려움.
  • 일본 및 유럽에서는 Komatsu, Hitachi, Volvo CE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 진입 장벽 존재.
  • 하지만 신흥시장(인도, 동남아, 중동)에서는 빠르게 성장 중.

 

7. HD현대건설기계의 독점적 지위가 있는가?

결론적으로 HD현대건설기계가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가진다고 보기는 어려움. 하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강점이 있음.

(1) 신흥시장(인도, 동남아, 중동)에서 강세

  • Caterpillar, Komatsu에 비해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나 개발도상국에서 시장점유율 확대.
  •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등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경쟁력을 갖춤.

(2) 친환경 건설기계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

  • 전기 굴착기 및 수소 연료 건설장비 개발을 선도하면서 향후 친환경 건설장비 시장에서 경쟁 우위 확보 가능성.
  • 하지만 현재까지는 Volvo CE, Caterpillar 등도 비슷한 방향으로 개발 중이므로 독점적 우위라고 단정짓기는 어려움.

(3) 국내 시장에서는 절대적인 점유율

  • 대한민국 내에서는 두산과 함께 1, 2위를 다투며 독보적인 시장 지배력을 보유.
  • 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Caterpillar, Komatsu 등과의 경쟁이 치열함.

 

8. HD현대건설기계의 신흥시장 공략 전략

  • 인도 법인은 2007년 설립 이후 꾸준히 현지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하며, 현지 부품 조달률을 75% 이상으로 높여 물류비를 절감하고 생산 효율성을 개선했다고 한다. 또한, 인도 법인의 분기별 가동률이 100%를 넘어서며 안정적인 생산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인도 굴착기 시장에서 17.4%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하며, 상위 10위권 기업 중 유일한 한국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함. 아래의 링크는 시간이 지났지만, HD현대건설기계가 시장을 어떻게 확장해가는지 알 것 같다.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4/05/23/K7P6XXEGOFHQXEPEC5FZOKWSOE/?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HD현대인프라, 건설기계 손잡고 인도 주변국 공략

HD현대인프라, 건설기계 손잡고 인도 주변국 공략

biz.chosun.com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61366638894168&mediaCodeNo=257&OutLnkChk=Y

 

中 대체할 新시장 부상…K건설기계, 인도 공략 가속화

지난해 급성장세를 나타냈던 북미와 유럽 건설기계 시장이 최근 역기저 효과로 주춤한 가운데 정부 주도의 인프라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인도 시장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특히 그동

www.edaily.co.kr

  • 아시아법인의 명칭을 PT HD Hyundai Construction Equipment Indonesia로 변경하여 현지화 의지를 강화
  • 인도네시아의 경제 성장과 인프라 개발에 따른 건설기계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있다고 한다. 수도 이전 계획에 따른 신도시 건설 기회를 활용할 전략이라고 한다.
  • 최근 수단과 건설장비 60대 공급 계약을 체결.
  • 중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남다른 서비스 정신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려 하는 중이며, 중국 신장에서 VIP 고객 교류회를 개최하는 등 굴착기 판매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신기술을 적용하여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고 지속적인 유통 채널 확대와 마케팅 강화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북미, 유럽 등 주요 시장에 대한 전담 조직을 구축하여 효과적인 시장 공략을 진행하고 있다.

 

9.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관련 영향

 

우크라·미국 광물 협정 임박 소식에…전진건설로봇 12%↑ - 머니투데이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광물 협정 성사가 임박했다는 외신 보도에 국내 증시에서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가 일제히 강세다. 5일 오전 10시4분 현재 코스피에서 전진건설로봇이 6500원(12.57%) 오른 5

news.mt.co.kr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50305025408310

 

‘종전 수혜?’ 전진건설로봇·HD현대건설기계·진성티이씨·프리엠스 등 건설기계株 ‘들썩’ |

전진건설로봇 주가가 크게 오르는 등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가 강세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진건설로봇079900은 오전 10시11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135470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신문 중 가

www.yeongnam.com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2270427&t=NNv

 

미우크라 광물 협정HD현대 재건 뛰어든다

<앵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현지시각으로 28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종전 협상의 핵심인 ‘광물 협정’에 서명할 예정입니다. 종전이 임박하면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www.wowtv.co.kr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5550

 

HD현대건설기계 주가 장중 8%대 내려,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행에 재건주 약세

HD현대건설기계 주가 장중 8%대 내려,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행에 재건주 약세

www.businesspost.co.kr

다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끝나도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한다. 피해 규모의 대부분이 러시아가 차지한 영역이며, 이 부분은 푸틴이 절대 포기하지 않을 부분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부분은 러시아와 중국의 건설기계 부분이 이득을 볼 것이라고 한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45698i

 

한창 분위기 좋은데…"팔아라" 이례적 보고서에 '발칵'

한창 분위기 좋은데…"팔아라" 이례적 보고서에 '발칵', "종전 기대감 과도"...재건株 매도 보고서 나왔다

www.hankyung.com

 

 

10. 지배구조

2023년 12말 기준

많은 계열사 중에 HD현대건설기계가 HD현대사이트솔루션 아래에 있다.

 

 

HD현대건설기계가 신흥시장으로 점차 시장을 확장하고 있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주가가 영향을 받고 있다. 하지만, 복구 수혜주로 보기에 많은 혜택을 못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해서 투자를 해야 할 것 같다.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기]  (0) 2025.03.11
[대한민국의 인구와 미래]  (0) 2025.03.10
[한미약품]  (2) 2025.03.07
푸틴과 핵위험  (2) 2022.10.03
CJ프레시웨이  (0) 2022.10.02